검정통계량과 t-value 자유도
·
머신러닝/데이터 분석
검정통계량 test statistic 표본 통계량은 추정치이므로 추정 오차가 발생하며 그것을 표준오차라고 부른다는 것을 앞서 알아보았다. 검정 통계량은 “통계적 가설의 진위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표본으로부터 계산하는 통계량이다. 즉, 표본 통계량을 2차 가공한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t-value 두 대상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를 표현한 정도 표본 평균은 항상 오차를 수반하므로 이 오차를 염두하면서 두 표본그룹의 평균 차이에 관한 지표를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평균 차이에 불확실도를 나누는 방식으로 통계적 차이 지표를 만든다. 값이 클수록 평균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두 표본 집단이 하나의 모집단에서 나왔을 것이라는 가정이 맞을 확률 또한 매우 낮다고 말할 수 있게 된다. T분포는 정규분포..
티스토리 시작
·
회고
그동안 데이터 공부한 내용들을 노션에 따로 정리 하고 있었는데 한눈에 몰아보기 힘든 문제가 있어서 여기에 정리해보고자 한다. 스스로 복기하고 정리도 할겸, 산더미지만 차근차근 옮겨 봐야지.. 시작이 반이다. 화이팅